[리뷰] 태어난 김에 수학 공부 : 대수
in Review on Review, Book, 수, 산술연산, 패턴, 표기법, 알고리즘, 함수, 그래프, 논리, 증명, 역사, 모형화, 동역학, 이산수학, 추상구조

윌북(willbook)
출판사의"태어난 김에 수학 공부 : 대수(케이티 스텍클스 저/고호관 역)"
를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예스24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도서를 제공받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기하학을 활용해 어려운 개념을 직관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화를 활용하고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추상성이 가지는 원리를 엿볼 수 있게 해주는 도와주는 명작.
수학 안에서도 무수한 분야가 존재하지만 대수는 세상 모든 생각과 논리의 중심을 이루는 뼈대
이다. 엄밀함 위에 서 있는 수학의 논리의 향연을 즐기다보면 세상 모든 분야의 논리와 연결되고 그 저변의 확장은 창의력의 근간이 된다.
모든 논리의 중심임에도 불구하고 대수로의 거대한 진입장벽은 추상성
에 있지 않은가 싶다. 추상성은 세상 모든 원리를 간결하고 일목요연하게 담을 수 있는 수단이지만 그만큼 그 본질을 이해하기는 어려운 영역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상성의 진입장벽을 낮춰주는 대표적인 스킬이 바로 시각화와 예시가 아닐까 싶다. 기하학을 활용해 어려운 개념을 직관
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화를 활용하고 구체적인 예시
를 통해 추상성이 가지는 원리를 엿볼 수 있게 해주는 도와주는 점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일찍이 서양의 교육 체계에서는 기하학과 대수학 두 양대산맥이 각자 가진 장점을 적절히 버무려 시너지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만들었으나, 이상하게도 수십년 전 내가 배워온 수학의 교육과정은 그렇지 못했다.
하지만 이제라도 이런 꿈 같은 교재를 만나게 되니 수학 애호가로써 행복함은 물론 자라나는 자녀를 위해 축복스러운 매체를 소개할 수 있다는 점이 매우 만족스럽다.
7대 난제 중 하나인 리만가설까지 이어지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가 좋은 예시이다. 소수를 찾아내는 규직성을 찾기 위해 기하학의 시각화를 활용하는 과정은 직관을 통해 사고의 제약에 날개를 달아주는
여정이다.
마찬가지로 황금비율을 대수학적인 논리의 확장으로 받아들이는 것과 눈을 활용하여 직관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인간의 사고 통로가 전혀 다른 길
이다. 이 교재는 이 두가지 길의 사고 능력을 모두 훈련할 수 있는 멋진 교재이다.
또한, 규칙성이 다소 모호해 보이는 피보나치 수열 또한 위 그림과 같이 시각적으로 받아들이면 순식간에 이해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 책은 구성상의 장점 또한 일품이다. 대수학의 핵심 개념과 원리를 시각적 자료와 함께 체계적으로 전달함은 물론 수의 기본 개념에서 출발해 방정식, 부등식, 함수, 그래프, 다항식, 인수분해, 이차방정식, 지수와 로그, 그리고 복소수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주제를 체계적으로 연결
해 나간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명확한 정의와 함께 시각적 예시, 도표, 차트, 그래프 등 다양한 시각 자료로 뒷받침되어 있어 독자가 추상적인 수학적 개념을 구체적인 이미지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특히, 복잡한 방정식 풀이 과정과 함수 그래프 해석이 시각적 단계별 설명으로 제공되어 머릿속에서 알고리즘을 단계적으로 따라가기가 쉬워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는 부분이 개인적으로 매우 인상 깊었다.
정리하자면 AI 시대에서도 책이 여전히 필요할 수 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역작이 아닌가 싶다. 아울러 이 책의 쌍둥이 편인 “기하
“편과 함께 일독을 권하고 싶다. 수학을 이루는 대표적인 양대 산맥을 함께 익힘으로써 상호보완과 융합이라는 거대한 시너지를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